미세먼지 계절관리제
미세먼지 계절관리제란?
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이 잦은 12월부터 3월까지 평상시보다 한층 강력한 사전 예방적 대책을 가동해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빈도와 강도를 줄이고자 하는 집중관리 대책입니다.
왜 필요하나요?
계절적 요인과 국내외 영향으로 매년 겨울철부터 이른 봄철까지 고농도 미세먼지가 집중적으로 발생합니다.
(최근 3년간 50㎍/㎥ 초과일수의 83%가 12~3월에 집중)
따라서 12월부터 3월까지 평상시보다 엄격한 사전 예방적 관리를 통해 기저농도를 낮추고 고농도 발생빈도와 강도를 낮춰야 합니다.
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자세히 보기
수송 분야

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제한(서울전역)
- 대상 : 전국 배출가스 5등급 차량
※ 단, 긴급차량, 장애인차량, 매연저감장치(DPF) 부착 차량 등은 단속 제외 - 시간 : 평일 06~21시
- 내용 : 위반 시 과태료 10만원 부과
배출가스 5등급 차량, 저공해조치 서둘러 주세요!
- 매연저감장치 부착, 조기페차 등 저공해 조치 보조금 지원
5등급 차량 시영주차장 주차요금 할증(서울전역)
- 전국 5등급 차량에 시영주차장(104개소) 주차요금 50% 할증 적용
※ 단, 긴급차량, 장애인차량, 매연저감장치(DPF) 부착 차량 등은 할증 제외
운행차 배출가스 및 자동차 검사소 집중 단속
- 화물차, 버스 등 배출가스·공회전 특별점검(원격 측정장비 등 활용)
- 민간 자동차 검사소(59개소) 전수점검
승용차 마일리지 특별포인트 제공
- 대상 : 12~3월 동안 서울시 4개월 평균주행거리의 50%(1,850km) 이하로 운행한 승용차 마일리지 가입 회원(별도 사진등록 필요)
- 1만 마일리지(1만원 상당) 지급
사업장 분야

대기오염물질 배출사업장 집중 관리
- 배출사업장 차등 점검 및 시민참여감시단 상시 밀접 감시
- 병원, 호텔, 난방·발전시설 등 대규모 사업장(1~3종) 자율감축 협약 확대(16 → 43개소)
비산먼지 발생사업장 집중 관리
- 건설공사장(연면적 1천㎡이상) 전수점검 및 시민참여감시단 점검
- 노후 건설기계 사용제한 점검 강화
(100억원 이상 관급공사장 → 서울시 발주 모든 관급공사장) - 미세먼지 발생 우려지역 드론 활용 합동단속
난방 분야

가정용 친환경보일러 확대 보급(5.5만대)
- 가정용 친환경보일러 설치 시 20만원 지원(저소득층 50만원)
- 친환경보일러 설치규정 위반 업체 단속
※ 2020년 10월 말 현재 19만6천대(누적) 보급
에코마일리지 특별포인트 제공
- 대상 : 직전 2년 동기간 대비 20%이상 에너지를 절감한 에코마일리지 가입회원
- 내용 : 20%이상 절감 시 1만 마일리지, 30%이상 절감 시 1.2만 마일리지 지급
대형건물 겨울철 적정 난방온도 집중 관리
- 에너지다소비건물 난방온도 제한(20℃ 이하) 점검
- 고효율·친환경보일러로 전환 유도
노출저감 분야

주요 간선 및 일반도로 청소 강화
- 중점관리도로 지정 확대(41개 157.96km → 53개 208.6km) 및 청소 강화(일 3회 → 일 4회 이상)
- 청소차 작업구간 확대(1일 50km/대 → 60km/대)
- 친환경 도로청소차 69대 도입
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특별 점검
- 지하역사, 어린이집 등 대중교통, 취약계층 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관리상태 특별 점검
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 관리 강화
- 지정구역 : 6개소(금천, 영등포, 동작, 중구, 은평, 서초)
- 살수차·분진흡입차 운영 확대(일 2회), 배출사업장 전수 점검, 대형공사장 주변 도로청소 책임제 운영 등
미세먼지 측정 분석 및 정보 제공
- 배출원 주변 간이측정기 총 300대 설치
- 대기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미세먼지 측정결과 순차적 공개
- 모바일랩(이동형 실시간 대기측정시스템) 운영
서울시가 제안하는 미세먼지 줄이기 5가지 실천

5등급 차량 매연저감장치 부착하기

공회전 NO! 친환경 운전 습관 지키기

가정용 친환경보일러로 교체하기

적정 난방온도(20℃) 유지하기

에코마일리지, 승용차마일리지 가입하기
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건강을 지키는 5가지 실천

외출은 가급적 자제하기

외출시 보건용 마스크 착용하기

외출시 대기오염이 심한 곳은 피하고,
활동량 줄이기
활동량 줄이기

외출 후 깨끗이 씻기

환기, 실내 물청소 등 실내 공기질 관리하기